[문제]

도현이는 컴퓨터와 컴퓨터를 모두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려 한다. 하지만 아쉽게도 허브가 있지 않아 컴퓨터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하여야 한다. 그런데 모두가 자료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모든 컴퓨터가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한다. (a와 b가 연결이 되어 있다는 말은 a에서 b로의 경로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에서 b를 연결하는 선이 있고, b와 c를 연결하는 선이 있으면 a와 c는 연결이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왕이면 컴퓨터를 연결하는 비용을 최소로 하여야 컴퓨터를 연결하는 비용 외에 다른 곳에 돈을 더 쓸 수 있을 것이다. 이제 각 컴퓨터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비용이 주어졌을 때 모든 컴퓨터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최소비용을 출력하라. 모든 컴퓨터를 연결할 수 없는 경우는 없다.

 

[입력]

첫째 줄에 컴퓨터의 수 N (1 ≤ N ≤ 1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연결할 수 있는 선의 수 M (1 ≤ M ≤ 100,000)가 주어진다.

셋째 줄부터 M+2번째 줄까지 총 M개의 줄에 각 컴퓨터를 연결하는데 드는 비용이 주어진다. 이 비용의 정보는 세 개의 정수로 주어지는데, 만약에 a b c 가 주어져 있다고 하면 a컴퓨터와 b컴퓨터를 연결하는데 비용이 c (1 ≤ c ≤ 10,000) 만큼 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a와 b는 같을 수도 있다.

 

[출력]

모든 컴퓨터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최소비용을 첫째 줄에 출력한다.

 

[예제]

[힌트]

이 경우에 1-3, 2-3, 3-4, 4-5, 4-6을 연결하면 주어진 output이 나오게 된다.


>문제 이해

모든 컴퓨터를 연결해야하는데,

- 가중치에 따라 최소 비용으로 모든 노선을 연결해야 한다.

만약 컴퓨터 a와 b가 연결되어있고, 컴퓨터 b와 c가 연결되어 있으면, a와 c가 연결되어 있다고 본다.

- 사이클이 없다.

=>> MST(Minimum Spanning Tree: 최소신장트리)의 특징이다.

>문제 풀이

union - find 베이스의 MST- 크루스칼 알고리즘으로 풀었다.

MST의 방법으로는 크루스칼과 프림이 있는데 이 문제에서는 간선의 개수가 적기 때문에 크루스칼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풀었다.

(크루스칼 알고리즘과 프림 알고리즘에 관한 간략한 차이를 아래에 적어놓았다.)

* 함수: union

: a와 b가 연결되어 있으면 둘의 부모를 같게 만들어 주는 과정

* 함수 find(int a)

: a의 조상을 찾아주는 과정이다. a와 b가 바로 연결이 안되어있어도 a의 조상과 b의 조상이 같으면 연결이 된거니까 이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 Main( )

priority queue를 이용해서 cost를 기준으로 input값들을 넣어준다.

그리고 이제 pq값들을 하나씩 꺼내서 최소비용으로 간선을 연결한다.

모든 노드를 연결해야하기 때문에 연결된 간선의 개수는 N-1이 되어야 한다.

간선을 연결할 때 마다 answer++ 카운팅을 해준다.

> 크루스칼 vs 프림

- 크루스칼

: 간선을 기준으로 선택해 나간다. 그래서 사이클이 이루어지는지 확인이 꼭 필요하다.

: 간선의 정렬이 오래 걸릴 수 있다. -> ∴ 간선이 적은 트리에 사용

- 프림

: 시작점을 기준으로 선택해 나가기 때문에 정점 중심 -> 사이클인지 아닌지 확인 할 필요가 없다.

 

>전체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PriorityQueue;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parent;
	static PriorityQueue<info> pq;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int N, M;
		N= Integer.parseInt(br.readLine());
		M= Integer.parseInt(br.readLine());
		
		parent= new int[N+1];
		pq= new PriorityQueue<info>();
		for(int i=1; i<=N; i++) parent[i]= i;
		
		int start, target, cost;
		for(int i=0; i<M; i++) {
			st=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start= Integer.parseInt(st.nextToken());
			target= Integer.parseInt(st.nextToken());
			cost= Integer.parseInt(st.nextToken());
			//cost 순서로 최소힙 정렬
			pq.offer(new info(start, target, cost));
		}
		
		int answer=0, line=0;
		while(!pq.isEmpty()) {
			if(line==N-1) break;
			
			info cur= pq.poll();
			if(cur.start== cur.target) continue; //같은 컴은 연결필요X
			if(find(cur.start)!=find(cur.target)) {
				line++;
				union(cur.start, cur.target);
				answer+= cur.cost;
			}
		}
		System.out.println(answer);
	}//main
	
	//조상찾기
	static int find(int a) {
		if(parent[a]==a) return a;
		return find(parent[a]);
	}
	
	//동맹찾기
	static void union(int a, int b) {
		parent[find(a)]=find(b);
	}
	
	//노드 연결 정보
	static class info implements Comparable<info>{
		int start, target, cost;
		public info(int start, int target, int cost) {
			this.start= start;
			this.target= target;
			this.cost= cost;
		}
		@Override
		public int compareTo(info o) {
			return this.cost-o.cost;
		}
	}
}

https://www.acmicpc.net/problem/1922

 

1922번: 네트워크 연결

이 경우에 1-3, 2-3, 3-4, 4-5, 4-6을 연결하면 주어진 output이 나오게 된다.

www.acmicpc.net

 

[문제]

분수 A/B는 분자가 A, 분모가 B인 분수를 의미한다. A와 B는 모두 자연수라고 하자.

두 분수의 합 또한 분수로 표현할 수 있다. 두 분수가 주어졌을 때, 그 합을 기약분수의 형태로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기약분수란 더 이상 약분되지 않는 분수를 의미한다.

 

[입력]

첫째 줄과 둘째 줄에, 각 분수의 분자와 분모를 뜻하는 두 개의 자연수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입력되는 네 자연수는 모두 30,000 이하이다.

[출력]

첫째 줄에 구하고자 하는 기약분수의 분자와 분모를 뜻하는 두 개의 자연수를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출력한다.

 

[예제]

 


>문제 풀이

input))

분자1 분모1

분자2 분모2

이렇게 입력되면

c1/p1 과 c2/p2를 더하고 기약분수를 구해주면 됩니다.

나올 수 있는 최대수는 입력되는 분자 또는 분모가 30,000이하 이므로 9억 int 범위로 감당 가능합니다.

1) 분수의 합을 구하고

2) gcd를 구하여 기약분수를 만들어 출력한다.

gcd를 구할 때는 호제법을 사용한다.

> 유클리드 호제법이란?

gcd(A, B)= gcd(B, A%B)

* 증명

G를 A와 B의 최대공약수라고 할 때, A= aG, B= bG

A= Bq+r 니까

aG= bGq + r

r중심으로 정리하면 r = aG - bGq = (a-bq)G

B= bG , r= (a-bq)G 니까 G가 B와 r의 최대 공약수가 되려면 b와 (a-bq)가 서로소 임을 증명해야한다.

만약 서로소가 아니라고 가정을 해보자.

두 수가 서로소가 아니라면 b= mg , a-bq= ng 로 g라는 공약수가 존재한다.

b의 값을 오른쪽 식에 대입하면 a-mgq=ng

정리하면 a= (mq+n)g 이다.

우리는 처음에 A와 B 두 수를 A= aG, B= bG (G는 A와 B의 최대공약수) 라고 선언했는데, 즉 a와 b는 서로소라는 의미이다.

근데 아래 식에서 b= mg 이고 a= (mq+n)g 이면 a와 b는 공약수 g를 갖게된다.

따라서 b와 (a-bq)는 서로소이다.

 

>전체 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 new Scanner(System.in);
		int c1, c2, p1, p2;
		
		//c1/p1, c2/p2
		c1= scan.nextInt();
		p1= scan.nextInt();
		c2= scan.nextInt();
		p2= scan.nextInt();
		
        //더해주고
		c1=c1*p2+c2*p1;
		p1=p1*p2;
		int gcd= getGcd(c1, p1); //최대공약수를 구해준다.
		
		System.out.println(c1/gcd+" "+p1/gcd); //기약분수 출력
	}//main
	
	public static int getGcd(int a, int b) {
		if(a%b==0) {
			return b;
		}
		return getGcd(b, a%b);
	}
}

https://www.acmicpc.net/problem/1735

 

1735번: 분수 합

첫째 줄과 둘째 줄에, 각 분수의 분자와 분모를 뜻하는 두 개의 자연수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입력되는 네 자연수는 모두 30,000 이하이다.

www.acmicpc.net

 

[문제]

창영이는 선영이가 사탕을 공평하게 나누어주지 않으면 친구들을 때릴정도로 사탕을 좋아한다.

따라서, 선영이는 다음 파티에 사용할 사탕을 구매하기 전에 고민을 하기 시작했다.

만약 파티에 K명이 참가한다면, 공정하게 나누어주려면 K×X개를 사야 한다. (X는 자연수)

선영이는 항상 적어도 한 아이는 사탕을 잃어버린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래서 캔디를 하나 더 구매해 총 (K×X+1)개를 구매하려고 한다.

사탕은 봉지 단위로 판매한다. 한 봉지에는 사탕이 총 C개 들어있다.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면서 구매할 수 있는 사탕 봉지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0 < t < 100)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고, K와 C가 공백으로 구분되어져서 주어진다. (1 ≤ K, C ≤ 109) 선영이는 부자가 아니기 때문에 109개를 넘는 사탕 봉지를 구매하지 못한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문제의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구매할 수 있는 사탕 봉지가 없다면, "IMPOSSIBLE"을 출력한다. 이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선영이가 구매해야 하는 사탕 봉지의 수를 출력한다. 만약, 가능한 봉지의 수가 여러개라면 아무거나 출력한다.

 

[예제]


>문제 풀이

창영이는 사탕을 좋아한다.

선영이는 구매하기 전에 고민을 시작했다.

만약, K명이 참가한다면, 공정하게 K x X(자연수) 사야한다.

항상 한 아이는 사탕을 잃어버린다.

그래서 (K x X + 1) 개를 구매해야한다.

사탕은 봉지 단위로 판매한다.

사탕은 총 C개 들어있다.

몇 봉지를 사야하는가?

input))

t     //(0<t<100)

K C  //(1<=K, C<=10^9)

output))

만족하는 사탕 봉지가 없다면, "IMPOSSIBLE"

여러개면 아무거나 출력

즉, K와 C가 주어지고 x: 인당 나눠줄 사탕 개수, y: 구매할 사탕 봉지 개수 라고 할때,

-Kx+Cy=1 을 만족하는 y를 찾아야한다.

* X의 시작점은 K/C의 올림수=> (int)(K+1)/C

>문제 풀이

gcd를 구할 때 유클리드 호제법을 쓴다면, 일차방정식의 해를 구할 때는 확장된 유클리드 호제법을 사용할 수 있다.

확장된 유클리드 호제법 설명 참고: https://sexycoder.tistory.com/65

 

유클리드 호제법과 그 확장에 대한 증명

유클리드 호제법의 증명 유클리드 호제법이란 큰 값에 대한 GCD(최대공약수)를 구하는 알고리즘을 말한다. 2개의 자연수 A,B가 있고 A%B=r이라고 했을 때 다음을 만족한다. 위 식을 증명하기 위해선

sexycoder.tistory.com

 

>전체 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 K, C;
		Scanner scan= new Scanner(System.in);
		
		N= scan.nextInt();
		for(int i=0; i<N; i++) {
			K= scan.nextInt();
			C= scan.nextInt();
			long x0, y0;
			
			EGResult result= extendedGcd(K, C);
			if(result.r!=1) {
				System.out.println("IMPOSSIBLE");
			}else {
				x0= result.s;
				y0= result.t;
				
				y0%=K;
				if(y0<0) y0+=K;
				y0= Math.max(y0, (K+C)/C);
				if(y0<= 1e9) {
					System.out.println(y0);
				}else {
					System.out.println("IMPOSSIBLE");
				}
			}
		}
	}//main

	public static EGResult extendedGcd(long a, long b) {
		long s0=1, t0=0, r0=a;
		long s1=0, t1=1, r1=b;
		
		long temp;
		while(r1!=0) {
			long q= r0/r1;
			
			temp= r0 - q*r1;
			r0= r1;
			r1= temp;
			
			temp= s0 - q*s1;
			s0= s1;
			s1= temp;
			
			temp= t0 - q*t1;
			t0= t1;
			t1= temp;
		}
		return new EGResult(s0, t0, r0);
	}//EGResult
	
	static class EGResult{
		long s, t, r;
		public EGResult(long s, long t, long r) {
			super();
			this.s= s;
			this.t= t;
			this.r= r;
		}
	}//EGResult
}

https://www.acmicpc.net/problem/3955

 

3955번: 캔디 분배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문제의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구매할 수 있는 사탕 봉지가 없다면, "IMPOSSIBLE"을 출력한다. 이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선영이가 구매해야 하는 사탕 봉지의 수를 출력한

www.acmicpc.net

 

[문제 설명]

복서 선수들의 몸무게 weights와, 복서 선수들의 전적을 나타내는 head2head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복서 선수들의 번호를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정렬한 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전체 승률이 높은 복서의 번호가 앞쪽으로 갑니다. 아직 다른 복서랑 붙어본 적이 없는 복서의 승률은 0%로 취급합니다.

승률이 동일한 복서의 번호들 중에서는 자신보다 몸무게가 무거운 복서를 이긴 횟수가 많은 복서의 번호가 앞쪽으로 갑니다.

자신보다 무거운 복서를 이긴 횟수까지 동일한 복서의 번호들 중에서는 자기 몸무게가 무거운 복서의 번호가 앞쪽으로 갑니다.

자기 몸무게까지 동일한 복서의 번호들 중에서는 작은 번호가 앞쪽으로 갑니다.

[제한사항]

weights의 길이는 2 이상 1,000 이하입니다.

weights의 모든 값은 45 이상 150 이하의 정수입니다.

weights[i] 는 i+1번 복서의 몸무게(kg)를 의미합니다.

head2head의 길이는 weights의 길이와 같습니다.

head2head의 모든 문자열은 길이가 weights의 길이와 동일하며, 'N', 'W', 'L'로 이루어진 문자열입니다.

head2head[i] 는 i+1번 복서의 전적을 의미하며, head2head[i][j]는 i+1번 복서와 j+1번 복서의 매치 결과를 의미합니다.

'N' (None)은 두 복서가 아직 붙어본 적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W' (Win)는 i+1번 복서가 j+1번 복서를 이겼음을 의미합니다.

'L' (Lose)는 i+1번 복사가 j+1번 복서에게 졌음을 의미합니다.

임의의 i에 대해서 head2head[i][i] 는 항상 'N'입니다. 자기 자신과 싸울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임의의 i, j에 대해서 head2head[i][j] = 'W' 이면, head2head[j][i] = 'L'입니다.

임의의 i, j에 대해서 head2head[i][j] = 'L' 이면, head2head[j][i] = 'W'입니다.

임의의 i, j에 대해서 head2head[i][j] = 'N' 이면, head2head[j][i] = 'N'입니다.

[입출력 예]

weights head2head result
[50,82,75,120] ["NLWL","WNLL","LWNW","WWLN"] [3,4,1,2]
[145,92,86] ["NLW","WNL","LWN"] [2,3,1]
[60,70,60] ["NNN","NNN","NNN"] [2,1,3]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다음은 선수들의 정보를 나타낸 표입니다.

선수 번호 vs 1번 vs 2번 vs 3번 vs 4번 승률 자기보다 무거운 복서를 이긴 횟수 몸무게
1번 - 패배 승리 패배 33.33% 1회 50kg
2번 승리 - 패배 패배 33.33% 0회 82kg
3번 패배 승리 - 승리 66.66% 2회 75kg
4번 승리 승리 패배 - 66.66% 0회 120kg

본문에 서술된 우선순위를 따라 [3,4,1,2] 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다음은 선수들의 정보를 나타낸 표입니다.

선수 번호 vs 1번 vs 2번 vs 3번 승률 자기보다 무거운 복서를 이긴 횟수 몸무게
1번 - 패배 승리 50% 0회 145kg
2번 승리 - 패배 50% 1회 92kg
3번 패배 승리 - 50% 1회 86kg

본문에 서술된 우선순위를 따라 [2,3,1] 을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3

다음은 선수들의 정보를 나타낸 표입니다.

선수 번호 vs 1번 vs 2번 vs 3번 승률 자기보다 무거운 복서를 이긴 횟수 몸무게
1번 - - - 0% (무전적) 0회 60kg
2번 - - - 0% (무전적) 0회 70kg
3번 - - - 0% (무전적) 0회 60kg

본문에 서술된 우선순위를 따라 [2,1,3] 을 return 합니다.

 


>문제 풀이

복서 선수들의 몸무게 int weights[ ]

전적 String head to head[ ]

1) 전체 승률이 높은 복서가 앞으로, 전적 없으면 승률 0 => 필요한 변수: 승률

2) 승률 동일하면 체급차 나는 애들 이긴 복서가 앞으로 => 자기보다 무거운 복서를 이긴 횟수

3) 2번까지 동일하면, 자신의 몸무게가 무거운 복서의 번호가 앞쪽으로 => 자신의 몸무게

4) 3번까지 동일하면, 작은 번호가 앞쪽으로 => 인덱스 번호

head2head[i][i]는 무조건 N이다. 자기 자신과 못싸움

W= win

L= lose

N= null 해당 선수랑 붙어본 적 없음

그래서 저는 boxer class를 만들어서 승률 / 본인보다 무거운 사람을 이긴 카운팅 / 몸무게 / 자신의 인덱스번호 를 담았고, 구한 값으로 조건에 따라 정렬했습니다. (comparator 사용)

 

>전체 코드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Comparator;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weights, String[] head2head) {
        int[] answer = new int[weights.length];
        boxer[] data= new boxer[weights.length];
        
        int total, w_cnt, heavy;
        for(int i=0; i<head2head.length; i++){
            total=0; //W/L 카운팅(N제외)
            w_cnt=0; //승리 횟수 카운팅
            heavy=0; //본인보다 무거운 사람을 이긴 횟수
            data[i]= new boxer(0, 0, weights[i], i+1);
            for(int j=0; j<head2head[i].length(); j++){
                char ch= head2head[i].charAt(j);
                if(ch!='N'){
                    total++;
                    if(ch=='W') {
                        w_cnt++;
                        if(weights[j]>weights[i]) heavy++;
                    }
                }
            }
            data[i].winrate= total==0? 0 : (float)w_cnt/total;
            data[i].heavyWin= heavy;
        }
        
        Arrays.sort(data, new Comparator<boxer>(){
            public int compare(boxer p1, boxer p2){
                if(p1.winrate==p2.winrate){
                    if(p1.heavyWin==p2.heavyWin){
                        if(p1.weight==p2.weight){
                            return p1.idx-p2.idx;
                        }else{
                            return p2.weight-p1.weight;
                        }
                    }else{
                        return p2.heavyWin-p1.heavyWin;
                    }
                }else{
                    return p2.winrate-p1.winrate>0? 1:-1;
                }
            }
        });
        
        for(int i=0; i<data.length; i++){
            answer[i]= data[i].idx;
        }
        
        return answer;
    }
    
    static class boxer{
        float winrate;
        int heavyWin, weight, idx;
        public boxer(float winrate, int heavyWin, int weight, int idx){
            this.winrate= winrate;
            this.heavyWin= heavyWin;
            this.weight= weight;
            this.idx= idx;
        }
    }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85002

 

[문제]

레스토랑을 운영하던 스카피는 코로나19로 인한 불경기를 극복하고자 메뉴를 새로 구성하려고 고민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단품으로만 제공하던 메뉴를 조합해서 코스요리 형태로 재구성해서 새로운 메뉴를 제공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어떤 단품메뉴들을 조합해서 코스요리 메뉴로 구성하면 좋을 지 고민하던 "스카피"는 이전에 각 손님들이 주문할 때 가장 많이 함께 주문한 단품메뉴들을 코스요리 메뉴로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단, 코스요리 메뉴는 최소 2가지 이상의 단품메뉴로 구성하려고 합니다. 또한, 최소 2명 이상의 손님으로부터 주문된 단품메뉴 조합에 대해서만 코스요리 메뉴 후보에 포함하기로 했습니다.

예를 들어, 손님 6명이 주문한 단품메뉴들의 조합이 다음과 같다면,

(각 손님은 단품메뉴를 2개 이상 주문해야 하며, 각 단품메뉴는 A ~ Z의 알파벳 대문자로 표기합니다.)

손님 번호 주문한 단품메뉴 조합
1번 손님 A, B, C, F, G
2번 손님 A, C
3번 손님 C, D, E
4번 손님 A, C, D, E
5번 손님 B, C, F, G
6번 손님 A, C, D, E, H

가장 많이 함께 주문된 단품메뉴 조합에 따라 "스카피"가 만들게 될 코스요리 메뉴 구성 후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코스 종류 메뉴 구성 설명
요리 2개 코스 A, C 1번, 2번, 4번, 6번 손님으로부터 총 4번 주문됐습니다.
요리 3개 코스 C, D, E 3번, 4번, 6번 손님으로부터 총 3번 주문됐습니다.
요리 4개 코스 B, C, F, G 1번, 5번 손님으로부터 총 2번 주문됐습니다.
요리 4개 코스 A, C, D, E 4번, 6번 손님으로부터 총 2번 주문됐습니다.

[문제]

각 손님들이 주문한 단품메뉴들이 문자열 형식으로 담긴 배열 orders, "스카피"가 추가하고 싶어하는 코스요리를 구성하는 단품메뉴들의 갯수가 담긴 배열 cours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스카피"가 새로 추가하게 될 코스요리의 메뉴 구성을 문자열 형태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orders 배열의 크기는 2 이상 20 이하입니다.

orders 배열의 각 원소는 크기가 2 이상 1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각 문자열은 알파벳 대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문자열에는 같은 알파벳이 중복해서 들어있지 않습니다.

course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 이하입니다.

course 배열의 각 원소는 2 이상 10 이하인 자연수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course 배열에는 같은 값이 중복해서 들어있지 않습니다.

정답은 각 코스요리 메뉴의 구성을 문자열 형식으로 배열에 담아 사전 순으로 오름차순 정렬해서 return 해주세요.

배열의 각 원소에 저장된 문자열 또한 알파벳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야 합니다.

만약 가장 많이 함께 주문된 메뉴 구성이 여러 개라면, 모두 배열에 담아 return 하면 됩니다.

orders와 course 매개변수는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이 되도록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orders course result
["ABCFG", "AC", "CDE", "ACDE", "BCFG", "ACDEH"] [2,3,4] ["AC", "ACDE", "BCFG", "CDE"]
["ABCDE", "AB", "CD", "ADE", "XYZ", "XYZ", "ACD"] [2,3,5] ["ACD", "AD", "ADE", "CD", "XYZ"]
["XYZ", "XWY", "WXA"] [2,3,4] ["WX", "XY"]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AD가 세 번, CD가 세 번, ACD가 두 번, ADE가 두 번, XYZ 가 두 번 주문됐습니다.

요리 5개를 주문한 손님이 1명 있지만, 최소 2명 이상의 손님에게서 주문된 구성만 코스요리 후보에 들어가므로, 요리 5개로 구성된 코스요리는 새로 추가하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3

WX가 두 번, XY가 두 번 주문됐습니다.

3명의 손님 모두 단품메뉴를 3개씩 주문했지만, 최소 2명 이상의 손님에게서 주문된 구성만 코스요리 후보에 들어가므로, 요리 3개로 구성된 코스요리는 새로 추가하지 않습니다.

또, 단품메뉴를 4개 이상 주문한 손님은 없으므로, 요리 4개로 구성된 코스요리 또한 새로 추가하지 않습니다.

 


>문제 이해

예제를 먼저 살펴보았다.

String order[] int course[]
1번 손님: A, B, C, F, G
2번 손님: A, C
3번 손님: C, D, E
4번 손님: A, C, D, E
5번 손님: B, C, F, G
6번 손님: A, C, D, E, H
2, 3, 4

각 속님이 주문한 단품 메뉴를 조합하여 6명의 손님들이 주문한 메뉴에서 몇번 중복되어 주문되었는지 체크한다.

course에서 요구한 대로 2개인 조합, 3개인 조합, 4개인 조합들을 살펴보고 course[i]개의 조합 중에 가장 많이 주문된 조합을 answer[]에 넣는다.

만약, 동일한 횟수로 많이 주문되었다면 모두 answer에 넣는다.

AC 4
CD 3
CE 3
DE 3
BC 2
BF 2
BG 2
CF 2
CG 2
FG 2
AD 2
AE 2

CDE 3
BCF 2
BCG 2
BFG 2
CFG 2
ACD 2
ACE 2
ADE 2

BCFG 2
ACDE 2

int course[]={2, 3, 4}; 로 주어졌으니까

String.length()==2 인 단품메뉴의 조합 중에 4번으로 가장 많이 주문된 AC를 answer에 넣는다.

string.length()==3 인 단품메뉴의 조합 중에 3번으로 가장 많이 주문된 CDE를 answer에 넣는다.

string.length()==4 인 단품메뉴의 조합 중에서는 2번이 가장 많이 반복된 횟수이며, BCFG와 ACDE 모두 2번씩 반복하였으므로 answer 배열에 "BCFG"와 "ACDE"를 모두 넣어준다.

그래서 답은 String answer[]= {"AC", "CDS", "BCFG", "ACDE"};

 

>문제 풀이

1. order[] 마다 dfs로 조합을 구할 것이다.

※ 그런데, 입출력 예제 3번을 보면 입력받는 주문의 문자열이 알파벳 순서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ex) XWY

편의를 위해서 메뉴의 조합을 찾기 전에 order[i] 문자열의 문자들을 쪼개서 정렬하여 넘겨준다.

2. ** dfs 함수 **

: dfs로 단품 메뉴의 조합을 찾는다.

넘겨받는 인수

- 손님의 주문을 char로 쪼갠 배열인 order

- order에서 살펴보고 있는 현재 인덱스 idx

- 지금 조합중인, 다음 dfs로 넘길 문자열값 str

- 살펴보고 있는 course[]의 값인 courselen

먼저 조합을 찾는 방법은 그냥 dfs 방법으로 찾으면 되는데,

찾을 때 어차피 우리가 필요한 것은 course[]에 담긴 숫자만큼의 단품 메뉴 조합만 필요하기 때문에 course의 값을 인수로 넘겨받아 길이가 같은 것만 확인하면 된다.

그리고 전부다 입력받고 나중에 comb(List)에서 다시 개수를 세는 과정을 하기는 귀찮고 코드도 길어지니까 HashMap을 사용하여 map에 없으면 comb.add(str), 있으면 map.put(str, map.get(str)+1) 해준다.

이렇게 하면 나중에 comb에서 정렬하고 map으로 카운팅한 값을 가져올 수 있다.

    //combination
    public static void dfs(char[] order, int idx, String str, int courselen){
        if(str.length()==courselen){
            if(!map.containsKey(str)){ //map에 없으면
                map.put(str, 1);
                comb.add(str);
            }else{
                map.put(str, map.get(str)+1);
            }
        }
        
        for(int i=idx; i<order.length; i++){
            dfs(order, i+1, str+order[i], courselen);
        }
    }//dfs

3. 저장된 comb리스트를 1)길이별 오름차순 + 2)개수별 내림차순

comparator를 사용하여 원하는 대로 정렬을 해주었다.

4. comb List에서 중복횟수가 1개 or max length아닌거 삭제

이제 조합 중에 중복횟수가 1이거나 개수가 최대가 아닌 문자열들은 comb 리스트에서 삭제 해준다.

*혹시 이때 java.util.ConcurrentModificationException 이 발생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s://blog.naver.com/gkfla1017/222487099463

 

[Java]오류 해결: java.util.ConcurrentModificationException

프로그래머스에 "메뉴 리뉴얼" 문제를 풀다가 오류가 발생했다. 또 언젠가 까먹고 실수할지도 모...

blog.naver.com

 

5. 출력을 위해 사전순 정렬을 해주고 answer에 담아준다.

 

 

 

 

>전체 코드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Comparato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Iterator;

class Solution {
    static List<String> comb= new ArrayList<>();
    static HashMap<String, Integer> map= new HashMap<>();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orders, int[] course) {
        String[] answer = {};
        char[] charr;
        
        //1. order마다 dfs로 조합을 찾아 comb리스트에 저장한다.
        for(int i=0; i<orders.length; i++){
            charr= orders[i].toCharArray();
            Arrays.sort(charr);
            for(int j: course){
                dfs(charr, 0, "", j);
            }
        }
        
        //3. 저장된 comb리스트를 1)길이별 오름차순 + 2)개수별 내림차순
        comb.sort(new Comparator<String>() {
			public int compare(String o1, String o2) {
				if(o1.length()==o2.length()){
                    return map.get(o2)-map.get(o1);
                }
                return o1.length()-o2.length();
			}
		});
        
        //4. comb List에서 중복횟수가 1개 or max length아닌거 삭제
        int idx=0, max= map.get(comb.get(0));
        for(Iterator<String> itr= comb.iterator(); itr.hasNext();){
            String combStr= itr.next();
            if(combStr.length()>course[idx]){
                idx++;
                max= map.get(combStr);
            }
            if(max>map.get(combStr)||map.get(combStr)==1)
                itr.remove();
        }
        
        //5. 출력을 위해 사전순 정렬을 해주고 answer에 담아준다.
        answer= new String[comb.size()];
        comb.sort(null);
        for(int i=0; i<comb.size(); i++)
            answer[i]= comb.get(i);
        
        return answer;
    }
    
    //2. dfs로 combination: 단품 메뉴들을 조합한다.
    public static void dfs(char[] order, int idx, String str, int courselen){
        if(str.length()==courselen){
            if(!map.containsKey(str)){ //map에 없으면
                map.put(str, 1);
                comb.add(str);
            }else{
                map.put(str, map.get(str)+1);
            }
        }
        
        for(int i=idx; i<order.length; i++){
            dfs(order, i+1, str+order[i], courselen);
        }
    }//dfs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2411

 

코딩테스트 연습 - 메뉴 리뉴얼

레스토랑을 운영하던 스카피는 코로나19로 인한 불경기를 극복하고자 메뉴를 새로 구성하려고 고민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단품으로만 제공하던 메뉴를 조합해서 코스요리 형태로 재구성해서

programmers.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