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로봇 청소기가 주어졌을 때, 청소하는 영역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로봇 청소기가 있는 장소는 N×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1×1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칸은 벽 또는 빈 칸이다. 청소기는 바라보는 방향이 있으며, 이 방향은 동, 서, 남, 북중 하나이다. 지도의 각 칸은 (r, c)로 나타낼 수 있고, r은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서쪽으로 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로봇 청소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1. 현재 위치를 청소한다.
  2. 현재 위치에서 현재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방향부터 차례대로 탐색을 진행한다.
    1. 왼쪽 방향에 아직 청소하지 않은 공간이 존재한다면, 그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한 칸을 전진하고 1번부터 진행한다.
    2. 왼쪽 방향에 청소할 공간이 없다면, 그 방향으로 회전하고 2번으로 돌아간다.
    3. 네 방향 모두 청소가 이미 되어있거나 벽인 경우에는, 바라보는 방향을 유지한 채로 한 칸 후진을 하고 2번으로 돌아간다.
    4. 네 방향 모두 청소가 이미 되어있거나 벽이면서, 뒤쪽 방향이 벽이라 후진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작동을 멈춘다.

로봇 청소기는 이미 청소되어있는 칸을 또 청소하지 않으며, 벽을 통과할 수 없다.

 

[입력]

첫째 줄에 세로 크기 N과 가로 크기 M이 주어진다. (3 ≤ N, M ≤ 50)

둘째 줄에 로봇 청소기가 있는 칸의 좌표 (r, c)와 바라보는 방향 d가 주어진다. d가 0인 경우에는 북쪽을, 1인 경우에는 동쪽을, 2인 경우에는 남쪽을, 3인 경우에는 서쪽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셋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장소의 상태가 북쪽부터 남쪽 순서대로, 각 줄은 서쪽부터 동쪽 순서대로 주어진다. 빈 칸은 0, 벽은 1로 주어진다. 지도의 첫 행, 마지막 행, 첫 열, 마지막 열에 있는 모든 칸은 벽이다.

로봇 청소기가 있는 칸의 상태는 항상 빈 칸이다.

 

[출력]

로봇 청소기가 청소하는 칸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문제 풀이

 문제가 길고, 조건이 많다. 문제를 읽으면서 로봇 청소기 동작 원리를 대충 파악해야 안헷갈리고 풀 수 있다.

 

<입력>

N, M (배열 사이즈)

r, c (( r , c ):좌표 값)

d (direction: 청소기 방향)

배열 값들이(mat[N][M]) 입력된다.

 

이 문제는 주어진 방향을 기준으로 주변을 탐색해보면서 깊이있게 뻗어나가는 탐색을 한다.

그래서 dfs가 적합할 것이라 생각하여 dfs로 풀었다.

 

dfs(int x, int y, int dir) 함수{

1) 현재 위치 청소

2) 현재 위치와 방향 기준

  1. 왼쪽 방향의 공간이 청소되어있지 않으면?   1)번 부터
  2. 왼쪽 방향의 공간이 청소되어 있으면?   dir를 왼쪽 방향으로 바꾸고 2)번으로
  3. 네 방향 모두 청소되어있거나 벽이면?   dir를 유지한채로 한 칸 후진 후 2)번으로
  4. 네 방향 모두 청소되어있거나 벽이고 && 후진도 못하는 상황??   작동 종료

}

 

각각의 조건에 대한 상황과 원하는 동작 처리를 잘 생각해야한다.

게다가 방향에 대한 조건이 0: 북, 1:동, 2:남, 3:서 로 반시계 방향도 아니기 때문에, 방향을 바꿀 때 처리를 주의해줘야 한다.

 

 

>전체 코드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M, cnt=0;
	static int mat[][], visited[][];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args) {
		int r, c, d; //(r, c)좌표, d:방향
		
		Scanner scan= new Scanner(System.in);
		N= scan.nextInt();
		M= scan.nextInt();
		
		r= scan.nextInt();
		c= scan.nextInt();
		d= scan.nextInt(); //0북, 1동, 2남, 3서
		
		mat= new int[N][M];
		visited= new int[N][M];
		
		for(int i=0; i<N; i++) {
			for(int j=0; j<M; j++) {
				mat[i][j]= scan.nextInt();
			}
		}
		
		cnt++;
		dfs(r, c, d);
		
		System.out.println(cnt);
    }//main

	static int[] dx= {-1, 0, 1, 0}; //북, 동, 남, 서
	static int[] dy= {0, 1, 0, -1};
	public static void dfs(int x, int y, int dir) {
		int nx, ny, cant=0;
		
		visited[x][y]=1;
		for(int i=0; i<4; i++) {
			dir= dir-1<0 ? 3:dir-1;
			nx= x+dx[dir];
			ny= y+dy[dir];
			if(nx<0||nx>=N||ny<0||ny>=M) {
			}else if(mat[nx][ny]==0&&visited[nx][ny]==0) {
				dfs(nx, ny, dir);
				cnt++;
				break;
			}
			cant++;
		}
		
		x= x-dx[dir];
		y= y-dy[dir];
		if(x<0||x>=N||y<0||y>=M) {
			return;
		}else if(cant==4&&mat[x][y]==0) {
			dfs(x, y, dir);
		}
	}//dfs
}

https://www.acmicpc.net/problem/14503

 

14503번: 로봇 청소기

로봇 청소기가 주어졌을 때, 청소하는 영역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로봇 청소기가 있는 장소는 N×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1×1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

www.acmicpc.net

 

[문제]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북극의 빙산이 녹고 있다. 빙산을 그림 1과 같이 2차원 배열에 표시한다고 하자. 빙산의 각 부분별 높이 정보는 배열의 각 칸에 양의 정수로 저장된다. 빙산 이외의 바다에 해당되는 칸에는 0이 저장된다. 그림 1에서 빈칸은 모두 0으로 채워져 있다고 생각한다.

그림 1. 행의 개수가 5이고 열의 개수가 7인 2차원 배열에 저장된 빙산의 높이 정보

빙산의 높이는 바닷물에 많이 접해있는 부분에서 더 빨리 줄어들기 때문에, 배열에서 빙산의 각 부분에 해당되는 칸에 있는 높이는 일년마다 그 칸에 동서남북 네 방향으로 붙어있는 0이 저장된 칸의 개수만큼 줄어든다. 단, 각 칸에 저장된 높이는 0보다 더 줄어들지 않는다. 바닷물은 호수처럼 빙산에 둘러싸여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그림 1의 빙산은 일년후에 그림 2와 같이 변형된다.

그림 3은 그림 1의 빙산이 2년 후에 변한 모습을 보여준다. 2차원 배열에서 동서남북 방향으로 붙어있는 칸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그림 2의 빙산은 한 덩어리이지만, 그림 3의 빙산은 세 덩어리로 분리되어 있다.

한 덩어리의 빙산이 주어질 때, 이 빙산이 두 덩어리 이상으로 분리되는 최초의 시간(년)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그림 1의 빙산에 대해서는 2가 답이다. 만일 전부 다 녹을 때까지 두 덩어리 이상으로 분리되지 않으면 프로그램은 0을 출력한다.

 

[입력]

첫 줄에는 이차원 배열의 행의 개수와 열의 개수를 나타내는 두 정수 N과 M이 한 개의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N과 M은 3 이상 300 이하이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각 줄마다 배열의 각 행을 나타내는 M개의 정수가 한 개의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각 칸에 들어가는 값은 0 이상 10 이하이다. 배열에서 빙산이 차지하는 칸의 개수, 즉, 1 이상의 정수가 들어가는 칸의 개수는 10,000 개 이하이다. 배열의 첫 번째 행과 열, 마지막 행과 열에는 항상 0으로 채워진다.

 

[출력]

첫 줄에 빙산이 분리되는 최초의 시간(년)을 출력한다. 만일 빙산이 다 녹을 때까지 분리되지 않으면 0을 출력한다.

 

[예제]


>문제 풀이

 

나는 몇 가지를 놓쳐서 처음에 좀 틀렸던 문제다.

- 처음 입력 당시 빙산의 상태가 이미 2덩어리 이상일 수 있다.

- 녹이는 과정을 주의해야한다.

 

<입력 변수>

int N, M;

int mat[][];

 

<사용한 변수, 배열>

int visited[][];

int minus[][]; //녹일 때 뺄셈을 위한 배열

int land, year, cnt;

//설명// land: 영역의 개수, year: 시간(년), cnt: 녹이는 과정에서 주변에 0이 몇개인지 카운팅하는 변수

 

<구현>

1. 입력을 받았을 때 빙산의 상태가 이미 2개 이상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을 수 있으므로 bfs로 먼저 영역의 개수를 확인합니다.

2. 영역의 개수를 확인한 후 if(영역의 개수가 0이거나 2이상일 경우) 0이면 0출력 종료; 2이상이면 year 출력

3. 녹이는 과정: mat[i][j]>0 인 값들에 대해 주변의 0이 몇개인지에 따라 마이너스를 시킨다.

*이 때 주의할 점은: 즉각적으로 인접한 0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mat[][]-=cnt; 를 해주면 안된다.

왜냐면 예를들어 mat[i][j]=3이고 주변에 3면이 바다라서 0이 될 경우 붙어있던 다른 값 mat[i][j+1]>0에게 인접한 바다+1의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minus 배열에 인덱스에 따라 인접 바다의(=0) 개수를 카운팅한 값을 넣어주고, 추후에 빼주었다.

4. 앞서 말했던 것처럼 mat[][]-minus[][]로 빙산들을 녹여준다.

5. year++로 앞의 과정들을 반복해준다. (반복해주면서 visited[][], minus[][], land의 변수를 초기화 시켜주어야 한다.

 

>전체 코드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M;
	static int mat[][], visited[][], minus[][];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args) {
		
		Scanner scan= new Scanner(System.in);
		N= scan.nextInt();
		M= scan.nextInt();
		
		mat= new int[N][M];
		visited= new int[N][M];
		minus= new int[N][M];
		
		for(int i=0; i<N; i++) {
			for(int j=0; j<M; j++) {
				mat[i][j]= scan.nextInt();
			}
		}//입력 끝

		int land, year=0, cnt; //ice:빙산의 높이의 총합, land:땅의 개수, year:시간
		while(true) {
			land=0;
			cnt=0;
			visited= new int[N][M];
			minus= new int[N][M];
			
			for(int i=1; i<N-1; i++) { //bfs
				for(int j=1; j<M-1; j++) {
					if(mat[i][j]>0&&visited[i][j]==0) {
						bfs(i, j);
						land++;
					}
				}
			}
			
			if(land==0||land>=2) {
				year= land==0?0: year;
				System.out.println(year);
				break;
			}
			
			for(int i=1; i<N-1; i++) { //녹이기
				for(int j=1; j<M-1; j++) {
					if(mat[i][j]>0) {
						cnt=0;
						for(int k=0; k<4; k++) {
							if(mat[i+dx[k]][j+dy[k]]==0) cnt++;
						}
						minus[i][j]=cnt;
					}
				}
			}
			
			for(int i=0; i<N; i++) {
				for(int j=0; j<M; j++) {
					mat[i][j]= mat[i][j]-minus[i][j]<0?0:mat[i][j]-minus[i][j];
				}
			}
			year++;
		}//while
		
    }//main

	static int[] dx= {-1, 0, 0, 1};
	static int[] dy= {0, -1, 1, 0};
	
    
	public static void bfs(int x, int y) {
		Queue<Integer> queue= new LinkedList<>();
		int nx, ny;
		
		queue.offer(x);
		queue.offer(y);
		
		while(!queue.isEmpty()) {
			x= queue.poll();
			y= queue.poll();
			
			for(int i=0; i<4; i++) {
				nx= x+dx[i];
				ny= y+dy[i];
				if(mat[nx][ny]>0&&visited[nx][ny]==0) {
					visited[nx][ny]=1;
					queue.offer(nx);
					queue.offer(ny);
				}
			}
		}
	}//bfs
}

https://www.acmicpc.net/problem/2573

 

2573번: 빙산

첫 줄에는 이차원 배열의 행의 개수와 열의 개수를 나타내는 두 정수 N과 M이 한 개의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N과 M은 3 이상 300 이하이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각 줄마다 배열의 각 행을

www.acmicpc.net

 

[문제]

재난방재청에서는 많은 비가 내리는 장마철에 대비해서 다음과 같은 일을 계획하고 있다. 먼저 어떤 지역의 높이 정보를 파악한다. 그 다음에 그 지역에 많은 비가 내렸을 때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이 최대로 몇 개가 만들어 지는 지를 조사하려고 한다. 이때, 문제를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장마철에 내리는 비의 양에 따라 일정한 높이 이하의 모든 지점은 물에 잠긴다고 가정한다.

어떤 지역의 높이 정보는 행과 열의 크기가 각각 N인 2차원 배열 형태로 주어지며 배열의 각 원소는 해당 지점의 높이를 표시하는 자연수이다. 예를 들어, 다음은 N=5인 지역의 높이 정보이다.

이제 위와 같은 지역에 많은 비가 내려서 높이가 4 이하인 모든 지점이 물에 잠겼다고 하자. 이 경우에 물에 잠기는 지점을 회색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이라 함은 물에 잠기지 않는 지점들이 위, 아래, 오른쪽 혹은 왼쪽으로 인접해 있으며 그 크기가 최대인 영역을 말한다. 위의 경우에서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은 5개가 된다(꼭짓점으로만 붙어 있는 두 지점은 인접하지 않는다고 취급한다). 

또한 위와 같은 지역에서 높이가 6이하인 지점을 모두 잠기게 만드는 많은 비가 내리면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은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네 개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마철에 내리는 비의 양에 따라서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의 개수는 다르게 된다. 위의 예와 같은 지역에서 내리는 비의 양에 따른 모든 경우를 다 조사해 보면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의 개수 중에서 최대인 경우는 5임을 알 수 있다. 

어떤 지역의 높이 정보가 주어졌을 때, 장마철에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의 최대 개수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어떤 지역을 나타내는 2차원 배열의 행과 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수 N이 입력된다. N은 2 이상 100 이하의 정수이다. 둘째 줄부터 N개의 각 줄에는 2차원 배열의 첫 번째 행부터 N번째 행까지 순서대로 한 행씩 높이 정보가 입력된다. 각 줄에는 각 행의 첫 번째 열부터 N번째 열까지 N개의 높이 정보를 나타내는 자연수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입력된다. 높이는 1이상 100 이하의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장마철에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의 최대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노트]

아무 지역도 물에 잠기지 않을 수도 있다.


>문제 풀이

  처음에 읽을 땐 이게 뭔소린가..?-? 하고 이해가 안갔었다.

차근차근 두번째 읽어보고 이해할 수 있었는데, 얼마나 비가 올지는 모르지만 강수량에 따라 일부 지점이 잠기게 되는데, 잠기지 않은 지점들의 뭉텅이(?)=안전영역이 최대 몇 개인가를 묻는 문제였다. 비가 안올 수도 있기 때문에 강수량에 대한 변수는 0부터 시작해야한다. 그리고 섬의 고도의 max값이 강수량 변수의 최대값이 될 수 있다.

이제 원래 풀었던 bfs 문제에 강수량의 변수 하나를 더 얹어서 풀어주면 된다.

 

N: 가로, 세로 길이

max= 입력받은 지점들의 높이의 최대값

land= 우리가 찾는 답, 생길 수 있는 최대 안전영역의 최대값

cnt= 강수량에 따라 생기는 안전영역의 개수를 담을 변수값

 

 

>전체 코드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max=0, land=0, cnt=0;
	static int mat[][], visited[][];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args) {
		
		Scanner scan= new Scanner(System.in);
		N= scan.nextInt();
		
		mat= new int[N][N];
		visited= new int[N][N];
		
		for(int i=0; i<N; i++) {
			for(int j=0; j<N; j++) {
				mat[i][j]=scan.nextInt();
				max= max>mat[i][j]?max:mat[i][j];
			}
		}//입력 끝
		
		for(int r=0; r<=max; r++) {
			for(int i=0; i<N; i++) {
				for(int j=0; j<N; j++) {
					if(mat[i][j]>r&&visited[i][j]==0) {
						bfs(i, j, r);
						cnt++;
					}
				}
			}
			visited= new int[N][N];
			land= land>cnt?land:cnt;
			cnt=0;
		}
		
		System.out.println(land);
    }
    
	public static void bfs(int x, int y, int rain) {
		int[] dx= {-1, 0, 0, 1};
		int[] dy= {0, -1, 1, 0};
		int nx, ny;
		
		Queue<Integer> queue= new LinkedList<>();
		
		queue.offer(x);
		queue.offer(y);
		visited[x][y]=1;
		
		while(!queue.isEmpty()) {
			x= queue.poll();
			y= queue.poll();
			
			for(int i=0; i<4; i++) {
				nx= x+dx[i];
				ny= y+dy[i];
				if(nx<0||nx>=N||ny<0||ny>=N) continue;
				if(mat[nx][ny]>rain&&visited[nx][ny]==0) {
					visited[nx][ny]=1;
					queue.offer(nx);
					queue.offer(ny);
				}
			}
		}
		
	}//end bfs
}

https://www.acmicpc.net/problem/2468

 

2468번: 안전 영역

재난방재청에서는 많은 비가 내리는 장마철에 대비해서 다음과 같은 일을 계획하고 있다. 먼저 어떤 지역의 높이 정보를 파악한다. 그 다음에 그 지역에 많은 비가 내렸을 때 물에 잠기지 않는

www.acmicpc.net

 

[문제]

강호는 코딩 교육을 하는 스타트업 스타트링크에 지원했다. 오늘은 강호의 면접날이다. 하지만, 늦잠을 잔 강호는 스타트링크가 있는 건물에 늦게 도착하고 말았다.

스타트링크는 총 F층으로 이루어진 고층 건물에 사무실이 있고, 스타트링크가 있는 곳의 위치는 G층이다. 강호가 지금 있는 곳은 S층이고, 이제 엘리베이터를 타고 G층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보통 엘리베이터에는 어떤 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버튼이 있지만, 강호가 탄 엘리베이터는 버튼이 2개밖에 없다. U버튼은 위로 U층을 가는 버튼, D버튼은 아래로 D층을 가는 버튼이다. (만약, U층 위, 또는 D층 아래에 해당하는 층이 없을 때는, 엘리베이터는 움직이지 않는다)

강호가 G층에 도착하려면, 버튼을 적어도 몇 번 눌러야 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만약,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서 G층에 갈 수 없다면, "use the stairs"를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F, S, G, U, D가 주어진다. (1 ≤ S, G ≤ F ≤ 1000000, 0 ≤ U, D ≤ 1000000) 건물은 1층부터 시작하고, 가장 높은 층은 F층이다.

 

[출력]

첫째 줄에 강호가 S층에서 G층으로 가기 위해 눌러야 하는 버튼의 수의 최솟값을 출력한다. 만약, 엘리베이터로 이동할 수 없을 때는 "use the stairs"를 출력한다.

 

[예제]


>문제 풀이bfs 문제를 몇번 풀어봤다면, 지금까지 풀었던대로 그냥 정석적인 방법으로 풀면 됩니다.

 

큐에 S값을 넣고 bfs를 시작해서 -D, +U한 값들이 범위(1~F)이고, 방문한적없으면, 방문처리 해주고, 누적 카운팅으로 몇번 눌렀는지 체크, 그리고 큐에 넣어주면 됩니다. 이렇게 큐가 빌 때까지 반복을 해주며, 그 전에 G층에 도달했을 경우 종료해주면 됩니다.

 

* 그리고 이 문제는 dfs로 풀면 안되는 문제입니다.

라고 자신있게 말하는 이유는 제가 처음에 dfs로 풀었기 때문입니다.ㅋㅋㅋㅋㅋㅋ

 

dfs로 풀면 먼저 수행해서 도달한 경로보다 나중에 수행해서 도달한 경로가 더 짧을수도 있는데, 뒤의 경우를 탐색 안하게 됩니다.

 

//만약 이런식의 구조로 짜게되면?
	public static void dfs(int x){
		dfs(x-D);
	    	dfs(x+U);
	}

dfs(x-D)를 타고 다 돌고나서 아래 dfs(x+U)를 돌게되기 때문에 잘못된 카운팅을 하게 되며, 먼저의 수행한 경로로 G에 도달하게되면, 뒤에 수행한 경로가 더 짧더라도 탐색을 안합니다.

그래서 생각을 해보니 이 구조로 짜려면 bfs로 짜면 되겠더라구요.

(아직 DFS/BFS는 한번에 파바박 생각이 안나는 것 같습니다...더 풀어야지..)

 

 

 

 

>전체 코드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F, S, G, U, D;
	static int mat[], visited[];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args) {
		int x, y;
		
		Scanner scan= new Scanner(System.in);
		F= scan.nextInt();
		S= scan.nextInt();
		G= scan.nextInt();
		U= scan.nextInt();
		D= scan.nextInt();
		
		mat= new int[F+1];
		visited= new int[F+1];
				
		bfs(S);
		if(visited[G]==0) System.out.println("use the stairs");
		else System.out.println(mat[G]);
    }
    
	public static void bfs(int x) {
		int nd, nu;
		Queue<Integer> queue= new LinkedList<>();
		
		visited[x]=1;
		queue.offer(x);
		
		while(!queue.isEmpty()) {
			x= queue.poll();
			nd= x-D;
			nu= x+U;
			
			if(x==G) return;
			
			if(nd>F||nd<1) {
			}else if(visited[nd]==0){
				mat[nd]=mat[x]+1;
				visited[nd]=1;
				queue.offer(nd);
			}
			
			if(nu>F||nu<1) {
			}else if(visited[nu]==0){
				mat[nu]=mat[x]+1;
				visited[nu]=1;
				queue.offer(nu);
			}
		}
		
	}//end bfs
	
}

https://www.acmicpc.net/problem/5014

 

5014번: 스타트링크

첫째 줄에 F, S, G, U, D가 주어진다. (1 ≤ S, G ≤ F ≤ 1000000, 0 ≤ U, D ≤ 1000000) 건물은 1층부터 시작하고, 가장 높은 층은 F층이다.

www.acmicpc.net

 

[문제]

우리 나라는 가족 혹은 친척들 사이의 관계를 촌수라는 단위로 표현하는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촌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된다. 기본적으로 부모와 자식 사이를 1촌으로 정의하고 이로부터 사람들 간의 촌수를 계산한다. 예를 들면 나와 아버지, 아버지와 할아버지는 각각 1촌으로 나와 할아버지는 2촌이 되고, 아버지 형제들과 할아버지는 1촌, 나와 아버지 형제들과는 3촌이 된다.

여러 사람들에 대한 부모 자식들 간의 관계가 주어졌을 때, 주어진 두 사람의 촌수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사람들은 1, 2, 3, …, n (1≤n≤100)의 연속된 번호로 각각 표시된다. 입력 파일의 첫째 줄에는 전체 사람의 수 n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촌수를 계산해야 하는 서로 다른 두 사람의 번호가 주어진다. 그리고 셋째 줄에는 부모 자식들 간의 관계의 개수 m이 주어진다. 넷째 줄부터는 부모 자식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두 번호 x,y가 각 줄에 나온다. 이때 앞에 나오는 번호 x는 뒤에 나오는 정수 y의 부모 번호를 나타낸다.

각 사람의 부모는 최대 한 명만 주어진다.

 

[출력]

입력에서 요구한 두 사람의 촌수를 나타내는 정수를 출력한다. 어떤 경우에는 두 사람의 친척 관계가 전혀 없어 촌수를 계산할 수 없을 때가 있다. 이때에는 -1을 출력해야 한다.

 

[예제]


>문제 풀이

 촌수로 나타내어져 있지만, 사실 그래프를 그려보면 트리 구조입니다.

그래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탐색을 통해 몇번 건너야 되는지 구하면 되는 문제였습니다.

입력받은 관계에 따라 트리가 여러개일 수도 있는데, 서로 다른 트리에 위치해 있어서 만날 수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해주면 됩니다.

dfs와 bfs 중 어느것을 사용해도 상관없습니다.

 

저는 전체 인원수를 N

출발지와 목적지를 person1, person2라는 뜻에서 p1, p2로

관계의 수를 M

관계에서 받는 변수를 x, y로 받았습니다.

 

>전체 코드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p1, p2, cnt=1;
	static int mat[][], visited[];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args) {
		int M, x, y;
		
		Scanner scan= new Scanner(System.in);
		
		N= scan.nextInt();
		mat= new int[N][N];
		visited= new int[N];
		
		p1= scan.nextInt()-1;
		p2= scan.nextInt()-1;
		
		M= scan.nextInt();
		while(M-->0) {
			x= scan.nextInt();
			y= scan.nextInt();
			mat[x-1][y-1]=1;
			mat[y-1][x-1]=1;
		}
		
		for(int i=0; i<N; i++) {
			if(mat[p1][i]==1) {
				visited[p1]=1;
				dfs(p1, i);
			}
		}
		if(visited[p2]!=1) cnt=-1;
        System.out.println(cnt);
    }
    
	public static void dfs(int x, int y) {
		visited[y]=1;
		if(y==p2) {
			cnt=mat[x][y];
			return;
		}
		
		for(int i=0; i<N; i++) {
			if(mat[y][i]>0&&visited[i]!=1) {
				mat[y][i]=mat[x][y]+1;
				mat[i][y]=mat[y][i];
				dfs(y, i);
			}
		}
	}//end dfs
	
}

https://www.acmicpc.net/problem/2644

 

2644번: 촌수계산

사람들은 1, 2, 3, …, n (1≤n≤100)의 연속된 번호로 각각 표시된다. 입력 파일의 첫째 줄에는 전체 사람의 수 n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촌수를 계산해야 하는 서로 다른 두 사람의 번호가 주어진

www.acmicpc.net

 

+ Recent posts